[ envelope distort 메뉴와 왜곡 툴 ]

 

- 왜곡 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Object - Envelop Distort 에 상단에 세개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Make with Warp: 곡선 형태로 변형

    Make with Mesh : 줄과 선을 사용하여 망 형태로 변형(문자일 경우 면으로 속성을 바꾼 후 적용해야 가능하다)

    Make with Top Object : 원하는 변형 형태를 위에 겹쳐놓고 적용하면 위에 겹쳐진 부분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 텍스트의 경우 왜곡 속성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우클릭 후 Create Outlines 속성을 입혀 면으로 바꾸어준 뒤 

좌측 툴바에서 여러가지 툴을 사용하여 변형할 수도 있다.

 

 

[ 왜곡 기능으로 볼록한 패키지 만들기 ]

 

- 툴바에서 Free Transform Tool 을 누르면 변형 관련된 위젯이 생성되는데, 여기에서 두번째 옵션은 원근으로 변형하는 툴이다(자주 사용하는 툴).

- 단축키를 사용해서 적용하려면 자유변형 툴을 들고 Ctrl Alt Shift를 모두 누른 채로 점을 드래그하여 적용할 수 있다.

 

 

[ 브러시 툴 ]

 

- 일러스트레이터에서의 브러시는 패스를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 브러시의 종류

  1. 불규칙한 선두께를 표현하여 글씨나 카툰과 같은 그림 효과를 줄 수 있음

  2. 오브젝트가 패스를 따라서 흩날림

  3. 오브젝트가 패스를 따라서 변형됨(리본, 붓터치 등의 그림 효과)

  4. 수채화 느낌

  5. 등록한 패턴을 패스를 따라서 표현할 수 있음

- 펜 툴로 패스를 그리고 난 후 적용하면 디테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

- 브러시 패널 중 하단 우측 두번째 아이콘을 누르면 적용되어 있는 브러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창이 뜬다.



[ 브러시 툴로 엠블럼 그리기 ]

 

 

[ 블렌드 툴 ]

 

- 규칙적으로 오브젝트를 여러개 배치해야 할 경우 블렌드 툴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 좌측 툴바에서 블렌드 툴을 더블클릭하면 옵션 창을 볼 수 있는데, 해당 속성에서 색상으로 연결할지, 개수로 연결할지, 거리로 연결할지 지정할 수 있다.

 

- 각 옵션에 따라서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 직접 선택 툴을 누르고 Alt를 누른 채로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특정 하나의 오브젝트만 선택할 수 있고, 속성도 변형할 수 있다.

- Ctrl Y 를 눌러 윤곽선 보기로 보면 블렌드를 적용한 일직선만 보이게 되는데 상단 Object - Blend - Expand 를 누르면 면의 속성으로 변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브젝트들의 윤곽선을 볼 수 있다.

 

 

[ 블렌드 툴로 원근 문자 만들기 ]

 

- 문구와 테두리 적용: Create outlines, Offset Path 적용

- 블렌드 툴 설정창에서 옵션을 갯수로 연결하여 적용

- 중간중간 세부적인 수정은 Ctrl Y를 눌러 윤곽선을 보이게 하고 수정사항 적용

 

 

[ image trace 패널 ]

 

- 사진을 대고 그리기에 복잡한 오브젝트의 경우는 픽셀 속성을 팩터 속성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활용한다. 하지만 파일 용량이 방대하게 커질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이미지 트레이스 설정창에서 mode는 3가지가 있다. 

    1. 보여지는 색상 그대로 오브젝트가 변환

    2. 명도로 변환

    3. 검은색과 흰색의 속성으로 변환(결과물 속성)

- Advanced 를 눌러 세부 속성을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만약 이미지에서 특정 색상을 무시하고 싶다면(배경색과 같은) 속성창 하단에 Ignore Color 을 체크해주면 된다.


- 원하는 속성들을 적용한 후 그대로 오브젝트 속성으로 변환하고 싶다면 상단 Expand 버튼을 눌러야만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점과 패스로 이루어진 면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오브젝트는 모양을 바꾸거나 색상을 바꿀 수 있다.

 

 

[ 심벌 스프레이 ]

 

- 한 개의 오브젝트를 수십, 수백개를 생성할 때에 심벌 스프레이 툴을 사용하면 파일 크기 걱정 없이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 우측 심벌 패널 하단 붓모양에서 여러가지의 심벌을 볼 수 있고, 흩날리는 효과를 주고 싶다면 좌측 패널에서 스프레이 툴을 사용하여 드래그 하여 생성하면 된다.

- 흩뿌린 심벌즈를 오브젝트 형식으로 만들어주려면 Symbols 패널 하단에 클립 모양을 눌러주면 된다.

- 좌측 스프레이 툴 종류들 중 하나를 적용하고 나서 적용된 효과의 반대 효과를 주고 싶다면 Alt를 누르며 클릭하면 된다.

심벌과 여러가지 툴을 사용하여 눈 그리기

 

 

[ 심벌 스프레이로 나무 그리기 ]

 

- 심벌과 스프레이 툴을 이용하여 나뭇잎을 흩뿌리다보면 배경 밖으로 나가버리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럴 때에는 클립핑 마스크를 활용하여 적용하면 되는데 포토샵에서는 원하는 레이어의 가장 하위에 배치해야 했다면, 일러스트레이터에서는 가장 상위에 배치시켜야 한다.

- 전체 선택 툴을 사용하여 모두 선택한 후 우클릭 하여 Make Clipping Mask를 눌러 적용하면 된다.

수정을 할 때에는 다시 우클릭 후 Release 를 눌러 해제한 후 수정한다.

 

 

[ 원근감 격자 툴 ]

 

- 원근감 격자 툴을 선택하면 관련 그리드가 생성되는데 해당 그리드를 안 보이게 하고 싶다면 상단에 View - Perspective Grid - Hide Grid 를 눌러 없앨 수 있다.

- 원근감 격자 툴은 소실점을 세가지로 지정할 수도 있다.

- 오브젝트를 그릴 때에는 좌측 상단에 도형 아이콘이 어느 면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그려야한다.

 

 

[ 불투명도 마스크 ]

 

- 먼저 불투명도를 적용할 병 오브젝트를 상하 반전으로 복사한 후 그림자로 지정할 병 오브젝트 위에 사각형을 그려 그레이디언트를 적용한다. 여기에서 보여질 부분은 흰색이고 가려질 부분은 검은색으로 적용할 수 있다. (포토샵의 레이어 마스크의 개념)

- 그리고 우측 패널에서 Transparency 를 눌러 불투명도를 적용할 수 있다. Make Mask 를 눌러 적용을 하면 옵션창에 병 오브젝트와 그레이디언트 사각형 오브젝트가 보이는데, 병은 우리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일반 작업창이고 그레이디언트가 마스크 창이다. 구분하는 데에 주의하자

- 그레이디언트가 있는 마스크 창을 선택한 후 좌측 툴바에서 그레이디언트 툴을 선택하나 후 보여지고 싶은 만큼 드래그 하여 적용할 수 있다.

- (주의) 마스크 창을 수정 완료했으면 반드시 다시 병 오브젝트가 있는 일반 작업창을 눌러 적용해주어야 한다.
- 최종적으로 클리핑 마스크를 적용하여 저장한다.

 

 

[ effect 메뉴 ]

 

- Effect는 일러트스 Effect 와 포토샵 Effect 가 있는데 일러스트는 오브젝트 자체에 주는 효과이고 포토샵은 이미지에 적용되는 효과이다.

- Effect는 주로 Distort & Transform (자유롭게 모양 왜곡)과 Stylize (그림자 효과)를 자주 사용한다.

 

- 오브젝트에 최종적으로 효과를 적용을 하고 수정할 때에는 우측 Appearance 패널에서 Fx부분을 눌러 수정해야 한다.

- 최종 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Ctrl Y 를 눌러 윤곽선을 확인해보면 효과를 적용한 것과 다르게 보이는데, 이것을 실제 속성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상단 Object -  Expand Appearance 를 눌러 적용해야 한다. ( 그 뒤로는 수정할 수 없다 )

 

 

[ effect 메뉴로 날씨 캐릭터 그리기 ]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문자 입력하고 수정하기 ]

 

- T자 아이콘에 우클릭하면 여러개의 옵션을 확인할 수 있는데, 앞에 3개는 가로방향 쓰기에 대한 옵션이고 뒤의 3개는 세로 방향 쓰기에 대한 옵션이다. 

- 두번째 툴은 반드시 면이 지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오브젝트가 있어야 하고, 패스 위에 클릭하여 지정된 영역 안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 세번째 툴은 패스를 따라 입력되는 툴이고, 패스 위를 클릭하고 입력한다.

- 마지막 툴인 문자 손질 툴은 Create outline 설정을 적용하지 않고도 한 글자씩 따로 수정할 수 있다.

- 단축키 Ctrl T 는 문자 패널 옵션이고, 여러가지 설정을 적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 패스 문자로 리본 문자 만들기 ]

 

- 사각형 도형을 생성해준 뒤 변형 툴을 사용하여 곡선을 만들어주고 같은 사각형 하나를 더 복사한 뒤 리본의 양쪽 끝부분을 생성해준다.

- 디테일한 부분은 펜 툴을 사용하여 작업해준 후 채색해준다.

- 반전 툴을 사용하여 양쪽 리본의 끝부분을 동일하게 만들어준다.

 

- 패스를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생성하기 위해 패스를 생성해준 후 텍스트를 입력한다.

 

 

[ create outline으로 말풍선 문자 만들기 ]

 

- 문자 면적 내부에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Create outline 기능을 적용한다.

- 우측 그레이디언트 패널을 사용하여 문구 색상을 적용한다.

- 단축키 Ctrl B를 사용하여 문구에 대한 후면 그림자도 적용해준다.

- 감싸지는 말풍선 모양은 상단 Object - Path - Offset Path 를 적용하여 표현해준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채색 패널들과 메뉴들 ]

 

- Swatches: 자주 쓰는 색깔을 모아놓은 견본들이 있다. 하단 책 모양 아이콘을 눌러 라이브러리 공간에서 불러와서 쓸 수도 있고,  사각형 아이콘을 눌러 직접 등록도 가능하다. 하지만 새로 등록한 색상은 해당 작업창에서만 유효하다.

- Color: 직접 스펙트럼에서 색상을 선택하거나 CMYK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 Color Guide: 채색된 오브젝트를 선택을 하면 그와 어울리는 색 배합을 보여준다.

 

- 채색된 오브젝트 클릭하고 에딧-에딧컬러-리컬러아트 하면 선택된 색의 배합을 조금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 사탕 그리기 ]

오프셋 패스를 적용했을 때의 차이와 적용

 

- Object - Path - Offset Path 를 눌러 오브젝트를 일정 수치로 줄이거나 늘려서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그레이디언트 패널 ]

 

- 우측 패널에 Gradient 를 눌러 작업창을 확인해보면 Fill과 Stroke에 관련된 설정을 볼 수 있는데, 이때 실제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은 Fill 부분이라는 점을 주의하자.

- 컬러바 하단에 있는 핀을 더블클릭하면 스와치, 컬러 옵션으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다.

- 핀 컬러 복사는 Alt 누른 상태로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한다.

- Type의 두번째에 있는 원형식의 그레이디언트는 중심을 변경할 때 좌측 툴바에서 그레이디언트 선택하고 원하는 포인트에서부터 드래그한다.

- 세번째에 있는 자유형 그레이디언트는 적용하면 레이어 안쪽에 망이 생기고 자유롭게 색에 대한 분포도를 변경할 수 있다.


[ 립스틱 그리기 ]

 

- 우측 컬러에서 잘 보면 그레이디언트로 들어와서 색상 적용한다.

 


[ 패턴 ]

 

- 같은 모양의 오브젝트를 여러개 복사하여 만들게 되면 수정하기도 어렵고 파일 용량도 커지기 때문에 패턴으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우측 패널 Swatches을 눌러 첫번째 아이콘을 클릭한 후 패턴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 패턴의 크기 조절을 할 때에는 전체선택 툴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크기 조절 툴을 더블 클릭해서 하단 Oprions 중 오른쪽 옵션만 체크한 채로 적용하고, 회전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 단축키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먼저 전체선택 툴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크기 조절 툴 클릭 후 자판에 물결표시(~) 누르고 드래그 하여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회전 툴도 동일하다.

- 패턴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전체선택 툴로 선택하고 ~를 누른 채로 드래그 하면 되고 방향키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Shift 키 활용). 

 

- 패턴에 대한 색 적용은 전체 선택 툴로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스와치 견본에서 적용한 패턴을 더블클릭하면 설정창이 나오고 패턴을 각각 선택해준 뒤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 패턴 직접 만들고 등록하기 ]

 

- 패턴을 직접 만들고 등록하는 방법 중 하나는 오브젝트를 생성한 뒤 원하는 패턴의 모양으로 만들어준 후 반드시 최종적으로 면과 선의 속성을 해제시킨 사각형의 오브젝트로 묶어주어야 한다(여백이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세개의 오브젝트(원 두개 사각형 하나)를 선택한 후 드래그 하여 스와치 패널에 끌어넣으면 된다.

- 버전이 업그레이드 된 후엔 원하는 모양의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상단 Object - Patters - Make를 눌러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간격과 배열도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단에 화살표 아이콘 누르면 스와치 패널에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항상 패턴을 오브젝트에 적용하려면 면 속성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노트 그리기 ]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align 패널로 정렬하기 ]

- 이 중 우측 하단에 Align To 부분을 주의해야 한다.

작업창을 기준으로 할지 / 선택된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할지 / 특정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정할지 선택할 수 있다.

 

 

[ pathfinder 패널로 합치거나 나누기 ]

 

- 오브젝트 간에 연산을 적용하면 다양한 모형으로 적용할 수 있고, Pathfinder를 활용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도형을 그릴 수 있어 편하다.

-  Pathfinder의 속성을 보면 Shape Modes는 무조건 오브젝트가 면일 때만 가능하고, Pathfinder는 적용하고 나면 그룹으로 묶이기 때문에 적용하고 나서 그룹을 해제해주어야 한다.

- 각 효과를 전부 적용해본 화면이다. (패스파인더 효과들 중 세번째 효과는 색상에 따라 합쳐진다)

 

 

[ 위의 두개로 바리게이트 그리기 ]

 

- 명령을 반복(Again)해서 사용할 때에는 단축키 Ctrl D를 눌러 사용한다.

- Ctrl D를 사용하여 직사각형 위에 생성한 직선을 반복 생성해준 후 Align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 그 후 패스파인더를 통해 각 도형들을 분리해주고 각각 색상을 지정해준다.

 

 

[ 회전 툴과 반전 툴 ]

 

- 회전 툴과 반전 툴은 중심점이 어디냐에 따라 작업하는 결과를 다르게 얻을 수 있다.

-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회전 아이콘을 더블클릭하게 되면 설정창이 띄워지고 원하는 회전비율을 입력한다. 그리고 OK를 누르면 회전만 되지만 Copy를 누르면 추가 복사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명령 반복 단축키인 Ctrl D를 누르면 계속해서 회전하며 도형을 생성할 수 있다.

 

기준점에 따라 달라지는 도형

 

- 중심을 변경하고 싶다면 전체 선택 툴로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Alt를 누른 채로 원하는 중심점을 선택해준다.

- 회전도 동일하다.

 

 

[ 크기 조절 툴과 기울기 툴, 변형 툴 ]

 

- 크기 조절 툴은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할 때 적용된 선 두께에 대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옵션 창의 Scale Strokes & Effects를 체크하면 된다.

- 중심점을 변경하고 싶다면 위의 툴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한다.

- 기울기 툴은 오브젝트를 전체 선택 툴로 선택한 후 Shift를 누르며 각을 조절하여 기울일 수 있다.

- 변형 툴은 패스를 선택한 후 드래그 하면 된다.

 

 

[ 안내선과 그리드 ]

- 안내선은 단축키 Ctrl R을 눌러 생성할 수 있다.

- 일러스트레이터의 안내선은 Path로 인식되므로 안내선을 잠궈놓아야 한다.

View - Guides - Lock Guides ( 단축키 Alt Ctrl ; )

하지만 부분적으로 안내선의 잠금을 해제하고 싶다면 선택 툴로 해당 가이드 선을 선택한 후 Ctrl Shift 더블클릭 Delete 해준다.

- 그리드는 View - Show Grid (단축키 Ctrl " ) 를 눌러 생성할 수 있다.

그리드의 크기와 비율은 환경설정( Ctrl K )에서 변경할 수 있다.

 

 

[ 회전 툴로 시계 그리기 ]

 

- 제자리에 계속해서 복사하고 붙혀넣고 싶다면 Ctrl C 후 단축키 Ctrl F(앞으로 복사) /   Ctrl B (뒤로 복사) 할 수 있다.

 

 

[ 반전 툴로 헤드폰 그리기 ]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펜 툴 ]

 

- 그림을 그릴 때에는 면 부분은 끄고 선 부분을 활성화 된 상태에서 그린다.

- +펜툴: 점 추가 / -펜툴: 점 삭제 / 방향 전환 도구: 직선의 패스를 곡선으로 만들거나 그 반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단축키 Alt키 누르면서 조절)

- 펜 툴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은 단축키를 사용하거나 기본 펜 툴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는 않는다.

 

 

[ 펜 툴로 사진을 대고 패스 연습하기 ]

- 사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

고정할 사진을 선택한 후 Object - Lock - Selection ( 단축키 Ctrl 2 )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 다른 단축키들은 포토샵에서 실습했던 것과 동일하다.

 

 

[ arrange 메뉴로 오브젝트 순서 배열하기 ]

- 배열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우클릭하여 Arrange 설정들을 활용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단축키는 포토샵에서의 순서 변경하는 법과 동일하다.

 

 

[ 그룹 선택 툴과 격리모드 ]

 

- 직접 선택 툴은 점과 핸들이 잡히게 되고 그룹 셀렉션 툴은 그룹으로 묶여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를 잡는 것이다.

단축키 Alt를 누른 상태로 클릭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격리모드는 전체 선택 툴로 수정하려는 부분을 클릭을 한 후 더블클릭하게 되면 특정 오브젝트가 따로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격리모드를 나오려면 상단 탭 부분을 하나씩 눌러 빠져나오면 된다.

 

 

[ 도형 툴과 펜 툴로 캐릭터 그리기 ]

 

- 링크: 일러스트레이터 작업창에 배치된 사진과 작업한 파일의 저장된 위치를 연결하는 것

사진을 작업창에 링크를 걸어 불러오면 파일 용량 크기 변화가 거의 없고, 사진 원본을 수정했을 때 링크가 걸린 사진도 함께 수정이 되어 편리하다. (주의) 하지만 꼭 링크가 걸린 파일의 위치를 옮길 때에는 링크가 걸린 사진도 위치를 함께 옮겨주어야 한다.

- 펜 툴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에는 동일한 색상을 사용할 면을 기준으로 도형으로 이어준다.

- 저장할 때는 불러온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저장해두면 관리하기 편하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선 툴 ]

 

- 일러스트레이터는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선으로 먼저 작업을 하고 채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면 속성은 꺼두고 선으로 먼저 그리는 연습을 하는 게 좋다.

- Shift 를 누른 채로 선을 생성하면 수평선, 수직선을 그릴 수 있다.

 

 

[ 도형 툴 ]

 

- 도형 툴에서도 작업하기 전 Fill 속성을 없애고 시작한다. Alt를 누른 채로 가운데를 기준으로 일정한 사각형을 만들 수 있고, Alt Shift를 눌러 정사각형을 만들 수도 있다.

- 도형만 선택한 후 작업창을 클릭하면 Rectangle 창이 보여지고 원하는 규격으로 생성할 수 있다.

- 둥근 사각형 툴을 사용하여 Radius를 조절하려면 마우스를 끌어 도형을 생성하고 그 상태에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 다각형의 경우도 방향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도형을 생성할 수 있다.

 

 

[ 선 툴과 도형 툴로 크레용 그리기 ]

 

- View - Outline (윤곽선 보기 기능)을 통해 부정확하게 오브젝트를 그렸을 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도형의 변화를 주고 싶다면 직접 선택 툴로 점을 드래그 한 후 방향키를 사용하여 점의 위치를 변경한다.

 


[ 지우개 툴 ]

 

- Eraser Tool: 툴이 지나가는 만큼 지워진다.

- Scissors Tool: 면이 아닌 Path(선)를 끊을 때 사용한다.

  Path를 클릭한 후 직접 선택 툴로 지점을 이동하면 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nife Tool: 도형을 나눌 때 사용한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파일 열고 저장하기 ]

 

- 일러스트 파일을 열 때에는 Open 방식으로 열면 되지만 작업창으로 이미지를 불러올 때에는 Place를 눌러 이미지를 열어야 한다.

Open 은 벡터 방식, Place는 픽셀 방식으로 다른 형식의 파일을 열 때 사용된다.

- 저장시 버전을 지정할 수 있는 설정창이 보이는데, 높은 버전으로 저장한(작업한) 파일을 낮은 버전으로 열게 되면 변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한 두 단계 정도 낮추어 저장하는 것이 안전하다.

 

 

[ 선택 툴로 오브젝트 선택, 수정하기 ]

 

- 전체 선택 툴(검정 화살표)은 오브젝트를 움직이거나, 복사하거나, 색상 변경등을 하고, 직접 선택 툴(흰색 화살표)은 오브젝트의 점을 선택하여 모형을 변형할 수 있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