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 구성

5-1 프레임과 레이어
5-2 정렬과 스마트 셀렉션
5-3 컨스트레인트
5-4 오토레이아웃
5-5 레이아웃 그리드

 

> 강의 내용 정리

 

[ 프레임과 레이어 ]

 

- 프레임 생성 단축기 F / A 
- 프레임 이름 바꾸기 (단축키 Ctrl R )
- 화면에서 프레임 작게 보기 (단축키 Ctrl - )
- 비율 100%로 맞추기 화면 1:1 비율로 맞추기 (단축키 Ctrl 0) 

 *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 화면 안에 꽉 차도록 비율 설정 (단축키 Shift 1 )

-  피그마에서는 프레임 하나를 오브젝트로 인식하기 때문에 프레임 안에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그룹핑을 할 수 있다.

 

 

- Clip content 체크를 활성화 하여 프레임 밖으로 나간 오브젝트도 프레임 안에 귀속될 수 있도록 한다.

 

- 2개 이상의 오브젝트들이 겹쳐져 있을 때 순서 바꾸기

  * 한칸씩 앞으로 이동하기 = 단축키 Ctrl ] 

    한칸씩 뒤로 이동하기 = 단축키 Ctrl [

    맨 앞으로 이동하기 = 단축키 ]

    맨 뒤로 이동하기 = 단축키 [

 

 

- 오브젝트 잠금 / 잠금해제 (단축키 Ctrl Shift L)

- 오브젝트 숨기기 / 보이기 (단축키 Ctrl Shift H)

 

 

[ 정렬과 스마트 셀렉션 ] - 관련 단축키 암기

 

- 2개 이상의 오브젝트 정렬시 정렬하려는 쪽의 가장 가까운 쪽으로 정렬된다. (왼쪽 정렬시 가장 왼쪽 오브젝트 기준으로 정렬)

 

 

- 가장 넓은 간격을 기준으로 모두 같은 간격으로 정렬

 

 

- 오브젝트들이 선택되어 있는 칸 안에서 같은 간격으로 정렬

Tidy up 클릭했을 때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아이콘

 

1.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는 오브젝트들을 선택했을 경우 오브젝트들 안에 작은 원이 생성된다.

2. 작은 원을 클릭한 후 수평 관계의 있는 오브젝트끼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3. 수직 관계의 경우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 순서를 변경하는 건 불가능하다.

 

 

 

 

 

- 빨간 선들을 클릭한 후 이동하여 간격 조절을 할 수 있다.

 

 

 

 

 

 

 

 

 

- 작은 원들을 다중 선택한 후 일부 오브젝트들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

 

 

 

 

 

 

 

[ 컨스트레인트 ]

 

- 컨스트레인트를 적용하기 위해 모바일 화면에 맞는 프레임을 설정 후 상단바와 하단 푸터, 그리고 아이콘들이 위치할 곳을 배치한다.

- 프레임의 크기를 변형하게 되면 아직 컨스트레인트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면 크기에 맞게 아이콘들과 각 영역들이 변하지 않는다.

 

 

- 상단바 영역을 컨스트레인트를 적용한 화면이다. (로고와 아이콘들은 제외)

  상단바의 경우 화면이 좌우로 변형될 때마다 크기게 맞게 움직여야 하며 상단바이기 때문에 위치는 'Top'으로 설정해야 한다.

  해당 설정값으로 적용한 후 프레임의 크기를 늘려보면 좌우 프레임 크기에 맞게 상단바 영역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컨스트레인트 설정 화면

 

- 오브젝트의 목적에 따라서 'Center' 'Left + Right' / 'Top' 'Bottom' 등 설정값을 줄 수 있다.

 

모든 오브젝트에 각각 컨스트레인트를 적용한 결과 화면

 

 

[ 오토레이아웃 ]

- 오토레이아웃 설정 (단축키 Shift + A)

- 오토레이아웃 해제 (단축키 Shift + Alt + A)

 

 

< 오토레이아웃과 스마트셀렉션의 차이와 활용 (오브젝트의 순서) >

 

원래의 오브젝트 순서
스마트 셀렉션으로 오브젝트의 위치를 바꾸었을 때(순서 변동 없음)
오토 레이아웃 설정 후 오브젝트 위치 바꾸었을 때 (순서 변동 있음)

 

 

 

- Ctrl D 단축키를 활용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레이아웃 유지) 아이콘을 복사할 수 있다.

  아이콘을 삭제해도 레이아웃은 유지된다.

 

 

- 오토 레이아웃 설정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과 수직 상태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 Hug 설정을 해놓으면 아이콘들의 개수가 늘어나도 아이콘이 잘리지 않고 아이콘을 감싸고 있는 컨테이너도 같이 늘어난다.

 

 

- 레이아웃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고 있는 오브젝트를 안에 넣으려면 Ctrl 키를 누른 채로 안으로 넣는다. 

  Ctrl 키를 누른 채로 넣으면 레이아웃이 일정 간격으로 변형된다.

- Ctrl 키를 누르지 않으면 결과물이 달라진다. (세번째 이미지)

- 오토 레이아웃을 적용한 여러개의 오브젝트들끼리도 다시 오토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다중 오토 레이아웃)

 

 

[ 레이아웃 그리드 ]

 

- 레이아웃 그리드 설정으로 프레임 안에 컬럼 영역 그리기

 

 

- 다른 오브젝트들의 설정값을 스타일로 적용할 수 있듯이 그리드도 스타일로 적용할 수 있다.

- Shift R 단축키로 자 모양 틀 생성하기

 

 

- 자모양을 나타낸 후 가이드를 잡을 수도 있지만 Gutter 값을 0으로 설정 후 가이드를 잡을 수도 있다.

 

 

- 그리드 레이아웃을 설정한 후 컨스트레인트까지 같이 적용해주면 설정해둔 간격을 유지하며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