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clay1987/97

 

웹, 앱 디자인 분석을 위한 3가지 기준점

UI 디자이너가 웹서비스와 앱서비스를 분석하는 방법 | 디자인 분석이 필요한 이유 웹과 앱 디자인에 있어서 좋고 나쁨을 느끼는건 몇초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그러나 디자인 결과물이 왜 좋은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1. 비주얼 컨셉

디자인의 시각적 완성도를 평가하는 단계로, 색상, 사진, UI 애니메이션, 레이아웃 등을 포함한다. 한화 Qcells의 제품 홈페이지를 예시로 들어, 깔끔한 색상 팔레트와 고해상도 사진 사용, 사각형 그리드를 활용한 디자인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2. UI 디자인적 완성도

UI 요소들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한화 Qcells 사이트의 경우, 사진 위에 어두운 배경과 흰색 텍스트, 남색 버튼을 사용한 점은 좋았으나, 남색이 검은 배경에 묻히는 경우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영상 모듈이 팝업창에서 재생되는 방식보다는 페이지 내에서 직접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3. 컨텐츠의 내용과 맥락

웹이나 앱이 전달하는 컨텐츠의 양과 질, 그리고 사용자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되는지를 평가한다. 한화 Qcells 사이트는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으나, 내용이 너무 많아 사용자가 모든 정보를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 했다. 그래서 결국 컨텐츠를 압축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웹 및 앱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눈으로 보았을 때 비주얼 컨셉, UI 디자인적 완성도, 컨텐츠의 내용과 맥락을 알 수 있어야 하고, 이 세 가지 기준점을 통해 디자인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실제 사례를 통해 각 기준점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디자인 작업이나 평가를 할 때 이러한 기준점을 활용하여 더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수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

[ 아티클 본문 ]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uxui-%EB%94%94%EC%9E%90%EC%9D%B8%EC%9D%B4%EB%9E%80

 

UX/UI 디자인이란? | 정의, 차이점, 사례, UX 디자인 프로세스 - 코드스테이츠 공식 블로그

PM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UX/UI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직무입니다. 하지만 목표를 이루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각 디자인 분야의 정의와 차이점, 사례를 통해 UX 디자

www.codestates.com

 

 

[ 아티클 요약 ] 

 

UX와 UI의 정의 및 특징

  • UX(User Experience):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의 감정, 태도, 행동 등을 포함하며, UX 디자이너는 이러한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조사, 정보 구조 설계, 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 UI(User Interface):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할 때 직접적으로 접하는 화면, 버튼, 아이콘 등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UI 디자이너는 색상, 레이아웃, 아이콘, 버튼 등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 UX와 UI의 차이점 및 관계 >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UI 디자인은 이러한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두 분야는 상호 보완적이며, 협업을 통해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는 UX와 UI를 통합하여 UX/UI 디자이너로 부르기도 한다.

 

< UX/UI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 >

  1. 아이디어 구현 및 정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비즈니스 목표를 이해하고 전략을 정의한다.
  2. 연구조사: 사용자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 요구사항, 선호도를 파악하고, 시장 조사를 통해 경쟁사와 시장 동향을 분석한다.
  3. 분석: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제품이나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용자 여정 지도를 활용하여 문제를 시각화한다.
  4. 디자인: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디자인을 구체화한다.
  5. 테스트: 제작한 디자인을 사용자에게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수집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6. 완료, 실행, 반복: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제품을 수정하고 개선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킨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UX와 UI 디자인의 명확한 정의와 차이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사용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고려하는 UX와, 이러한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UI의 협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 특히,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가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 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앞으로 UX/UI 디자인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 글이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 같다.

 

[ 아티클 본문 ] 

https://medium.com/jung-han/%EC%82%AC%EC%9A%A9%EC%9E%90%EB%A5%BC-%EC%83%9D%EA%B0%81%ED%95%98%EA%B2%8C-%ED%95%98%EC%A7%80%EB%A7%88-cc4f8fe5a0e9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

📖 책 읽고 필요한 내용 정리하기

medium.com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는 스티브 크룩의 저서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 를 기반으로 UX 디자인의 핵심 원칙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모든 내용을 꼼꼼히 읽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기 위해 훑어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중요한 정보는 눈에 띄게 배치해야 하며, 사용자가 고민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의 내비게이션과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며, 불필요한 클릭을 줄이고 핵심 기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디자인에서 널리 사용되는 패턴과 관례를 따르면 사용자는 익숙함을 느끼고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좋은 UX는 이론이 아니라 실전에서 검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성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실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읽고 UX 디자인에서 어떤 점들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고 더 자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바로 책을 구입했다.

이 책에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찾을 때 빠르고 직관적인 경험을 원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핵심적인 정보만을 강조하는 것이 필수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관례를 따르는 것이 혁신적인 디자인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UX 디자인을 할 때 사용자가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shaun/118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

몇 개월 전 샌드위치 브랜드 써브웨이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는 글을 본 적이 있다. 그 글의 핵심은 써브웨이의 주문 방식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한다는 것이었다. 써브웨이는 다른 패스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위 글에서는 사용자 경험(UX)이 반드시 사용자의 편의성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부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써브웨이의 주문 방식은 처음에는 다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고객이 자신의 기호에 맞게 샌드위치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징 경험은 써브웨이의 핵심 가치이며, 이를 단순화하거나 제거하면 브랜드의 정체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UX는 기업의 수익 모델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단순히 사용자의 편의성만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UX 디자인이 단순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 써브웨이의 사례를 통해 다소 불편한 사용자 경험이 오히려 브랜드의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인도 써브웨이 첫 주문이 어려워 그냥 옆사람을 따라 주문했던 기억이 있다) 따라서 UX 디자이너로서 사용자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을 깊이 이해하고, 두 요소의 균형을 맞추는 디자인을 고민하는 것을 연습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rladudrl305/2

 

3편.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 (1)

UX 디자인 입문 | 지난 글에서 잠깐 소개된 더블 다이아몬드는 서비스 디자인에서 사용하기 시작된 방법론입니다. UX에서는 굉장히 많은 방법론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론들은 글로 설명을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는 UX 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더블 다이아몬드는 영국 디자인 카운슬에서 제시한 모델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발견(Discover)’, ‘정의(Define)’, ‘개발(Develop)’, ‘전달(Deliver)’의 네 단계로 나누어 사고의 확산과 수렴을 반복하는 구조를 가진다.

  1. 발견(Discover) : 제품이나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 조사, 시장 조사, 경쟁사 분석, 사용자 조사를 수행한다. 사용자 조사는 정량적 방법(설문조사, A/B 테스트, 아이 트래킹)과 정성적 방법(인터뷰, 현장조사, 카드 소팅)으로 나눌 수 있다.
  2. 정의(Define)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시각화한다. 이 과정에서 페르소나(Persona),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 이해관계자 맵,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사용자와 서비스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UX 디자이너는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구조화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

 

 

[ 디스커션 ] 

: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UX 디자인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과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명확히 정리되어 있어, 디자인 과정에서 방향성을 잡는 데 유용했다.

 

 특히, 발견 단계에서 철저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결책을 개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앞으로 UX 디자인을 진행할 때 이 모델을 참고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sooscape/11

 

UX 디자이너는 뭐하는 사람일까

UX 디자이너가 뭐하는 사람인지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했다. 대학원에서 UX 디자인으로 석사 논문까지 썼고, UX 디자이너로 실무 경력을 쌓는 중이지만, 주변에서 (특히 어른들이)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는 UX 디자이너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UX 디자이너는 단순히 화면을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기획, 리서치,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등을 수행하며, 제품이 사용자 친화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든다. 또한, 회사의 규모와 조직 문화에 따라 UX 디자이너의 업무 범위가 달라진다. 스타트업에서는 기획부터 디자인, 테스트까지 폭넓은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대기업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업무를 맡는다.

 

 특히, UX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로는 사용자 중심 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능력이 있다.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와 비즈니스 사이의 균형을 맞추며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내는 문제 해결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디스커션 ] 

: UX 쪽에 흥미가 생기던 이유 중 하나는 UX 디자이너는 단순히 예쁜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와 비즈니스의 균형을 맞추며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는 점이었다.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획, 리서치, 테스트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논리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이 점에 매력을 느꼈다.

 

 또한, UX 디자이너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느낀다. 단순히 개별적인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 기획자, 마케터 등과 협력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최적의 경험을 설계해야 한다. 앞으로 실무 중심의 경험을 쌓고, 사용자 중심 사고를 더욱 발전시켜야겠다고 다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