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 구성
1-1 UX 디자인이란 |
1-2 UX 디자인 시작하기 |
1-3 UX 디자인 프로세스 |
1-4 사용자 중심 디자인 (UCD) |
> 강의 내용 정리
[ UX 디자인이란 ]
: 비즈니스에서의 UX 디자인의 목표는 유용성과 동시에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고객의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는 것
사용자 경험이란 사용자와 회사, 서비스, 제품과의 모든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 UX의 중요성 ]
1. 경쟁의 심화
: 사용자들의 디자인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었고 UX 디자인에 대한 수요로 이어짐
2. 복잡도의 증가
: 사용자의 기술 적응 속도보다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음
3. 지속 가능한 서비스 룹(Loop)
: 에코 시스템은 사용자 충성도를 높이고 학습도를 낯춰 점차 Lock-in 시키는 효과가 있음 (일관성을 만드는 것)
[ UX의 구성요소 ]
1. 사용성
- 네비게이션 (Navigation): 사용자가 어떻게 타겟을 찾아가는가
- 친숙도 (Familiarity)
- 일관성 (Consistency): 시스템의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디자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가
- 에러 예방 (Error Prevention): 사용자가 사용할 때 실수하지 않도록 힌트 메세지나 워닝 메세지를 제공하는가
- 피드백 (Feedback):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가
- 시각적 명료성 (Visual Clarity): 눈으로 볼 때 각 컴포넌트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 오해 없이 제공하는가
- 유연성 (Flexibility): 시장의 변화, 업데이트의 필요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가
2. 효용성 (Efficiency)
- 이 시스템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얼마나 쓸모 있는가
3. Usefulness = Utility + Usability
- 내가 필요한 기능이 제공이 되는 동시에 내가 그것을 실제로 잘 사용할 수 있는가
[ UX 디자인 프로세스 ]
1. Typical design process
: Listen - Analyze - Design - Test
2.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 보통 인력, 자금, 시간이 충분한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음
[ 확산 - 수렴 - 확산 - 수렴 ] 의 구조로 되어 있음

< 확산 1 >
-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를 모른다' 의 상태에서부터 시작
- 현재 사용자 행태 / 제품의 특성 / 트렌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
- 현존하는 문제점 및 기회 요인을 파악
- 제한을 두지 않고 가능한 한 넓은 범위의 리서치로 진행
< 수렴 1 >
- Raw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insight)와 키팩터(key factor) 도출
- 리서치 결과를 시각화(모델링 작업)
1. Affinity diagram

- 가장 인기 있는 모델링 조사 방법
- 사용자들의 이야기들(user's factor)을 하나씩 포스트잇에 적어 놓고
팀원들이 모여 비슷한 속성을 가진 팩터들끼리 묶은 후 속성 그룹에 이름을 명시한다.
2. User jorney map

-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쓰는가에 대한 행위를 시각화 함.
- 팀 리뷰를 통해 기회 요인(opprortunity)와 문제점(pain point)를 정의
- HMW (How mignt we) 를 질문
- 디자인 컨셉 및 전략 수집
< 확산 2 >
- 아이디에이션(ideation)을 통해 문제 해결에 대한 솔루션을 도출
- 아이디어 평가를 통한 구체화
- 가설 수립 및 평가를 통한 다양한 가능성 탐구

< 수렴 2 >
-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가설 및 구현 안정성 검증
- 테스트와 개선의 반복 프로세스
- 개발 및 출시
3. Lean UX design process
: 리소스가 부족한 스타트업 조직에 적합한 프로세스
빠르게 시장에 나와 사용자의 진짜 니즈를 얻고 그걸 바탕으로 빠르게 업데이트 하여 트렌디한 서비스를 제공
개발에서 큰 덩어리를 한 번에 하지 않고 하위 개념으로 쪼개어 작은 부분부터 개발하자는 개념
핵심적인 기능부터, 즉 MVP부터 만들자는 개념

[ 사용자 중심 디자인(UCD) ]
: 사용자는 누구일까?
1. 사용자
: 우리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 우리 제품을 사용할 사람
2. UCD: User Centered Design (사용자 중심 디자인)
- 유저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비언어적으로 표현되는 니즈는 무엇이 있을지 유저의 관점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일종의 마인드 셋 같은 것.
3. UCDC: User Centered Design Canvas

- 이 시장에서 사용자들에게 우리 서비스만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함
- 우리가 만들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누구이고 사용자가 갖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 사용자가 우려하는 것과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 위 과정들을 통틀어보면 시장에 많은 서비스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서비스가 시장에 나갔을 때 성공 할 수 있는 강점이 생긴다.
> 느낀점
: UX의 기본 개념부터 디자인 프로세스,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대해서 강의를 들었다. 개념적인 설명과 내용이 간결하면서도 핵심이 확실해서 듣기 편안했고, 실제 실무에서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절차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스타트업 같은 시간과 자금이 충분하지 않을 때는 어떤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또 시간과 자금이 충분한 대기업에서는 어떤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그에 대한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었기 때문에 기억에 더 잘 남았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좋을지에 대한 생각도 충분히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UIUX 학습일지 > UX 이론 기초 파트 1,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7주차 학습일지 - Chapter 6 인터랙션 디자인 (0) | 2025.01.09 |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6주차 학습일지 - Chapter 5 디자인 컨셉과 정보구조 (0) | 2025.01.08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6주차 학습일지 - Chapter 4 퍼소나 (0) | 2025.01.08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6주차 학습일지 - Chapter 3 모델링 (0) | 2025.01.08 |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5주차 학습일지 - Chapter 2 사용자 조사 (1)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