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부터 간병, 요양까지

모든 헬스케어를 연결하다, 케어네이션

: 케어네이션은 보호자, 간병인, 요양시설을 연결하는 간병·요양 매칭 플랫폼이다. 이번 분석에서는 사용자가 간병인을 찾고 고용하는 과정에서의 접근성과 편의성, 신뢰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그리고 플랫폼 내부에서 간병인 검색 및 매칭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반영하는지 분석할 것이고, 리뷰 및 피드백 시스템이 사용자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내가 작업하고 있는 ‘손이음’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는 UX 개선 요소를 도출해보려고 한다.

 

 

1. 홈

 

- 홈 탭에서 대표 서비스인 '간병' 버튼을 누르면 케어네이션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구체적인 현황이 그래프와 숫자로 표기되면서 간병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부터 플랫폼의 신뢰도를 높이고 하단에는 실제 보호자들이 남긴 후기를 실시간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신뢰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 플랫폼 최초 실행시 하단에 보이는 네비게이션 바(홈 / 커뮤니티 / 아이콘 / 일정관리 / 마이페이지)가 일정한 패턴 없이 어떤 버튼을 누르면 다른 네비게이션 바(화살표 / 아이콘 / 새로고침 / 마이페이지 / 기타)로 달라져, 혼란을 주었다. (개선점)하단 바가 계속해서 바뀌게 되면 해당 플랫폼을 오래 사용하던 사용자도 헷갈릴 위험이 크므로 하단 바는 통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홈' -> '간병' -> '간병 서비스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의 간병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폼이 나온다. 이때 질문의 성격에 맞게 나누어져 페이징 되어 있고, 페이지가 넘어갈 때마다 자동 저장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편의성을 주고 있다. 자동 저장 방식으로 사용자가 중간에 입력 폼을 이탈하더라도 정보를 계속 가지고 있고 나중에 다시 입력할 때에도 저장했던 정보를 불러와 다시 재작성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입력 폼 하단에 참고해야 할 메세지(이름 적는 란 하단의 문구)를 적어두어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점이 어떤 것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개선점)하지만 텍스트 색상이 눈에 잘 띄지 않아 사용자들이 인지를 못 할 수 있으니, 문구의 색상을 붉은 색으로 바꾸거나 Bold를 주어 강조하면 좋을 것 같다.

- 입력 폼 우측 하단에 '고객 상담' 버튼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입력 도중 문의할 사항이 생겼을 때 바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다시 홈 화면으로 돌아와, 화면 하단에 로고 버튼을 누르면 바로 가기 아이콘들이 보여지는데, 바로가기 아이콘(세번째 이미지)들의 구성이 홈 화면 하단에 보여지는 아이콘(두번째 이미지)들과 일부만 겹치고 일부는 누락되어 혼란을 준다(통일성 문제).

 

 

2. 커뮤니티


- 커뮤니티 탭으로 들어오면 상단에 가이드북 영역이 있고 하단에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배치되어 있는 형식이 물결 형식으로 되어 있고, 왼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하는데 이 부분이 본인에게는 가독성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다. 아이콘 내부에도, 하단에도 동일한 제목이 적혀져 있어 텍스트가 많은 형식인데 계속 움직이기까지 하니 가독성이 떨어졌다. (개선점) 중복되는 텍스트를 하나로 줄이고 물결 형식이 아닌 일렬로 배치한 후, 하단에 바를 두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가 몇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수정한다.

- 하단에는 주간 소식을 볼 수 있는 영역이 있는데 이 부분의 올라와 있는 글들은 사실 몇 달째 동일한 내용이 보여지는 걸로 보아 주간 소식이 아닌 공지사항이지 않을까 싶다. 주간, 인기라는 명칭을 넣었지만 이것은 오래 해당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신뢰도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으니 (개선점) 명칭을 공지사항, 자주하는 질문으로 바꾼다.

- '놓치기 아까운 정보' 영역에서는 간병을 받는, 혹은 그의 보호자들에게도 필요할 수 있는 정보를 두어 사용자들이 플랫폼을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 가장 하단에는 '자주 묻는 질문' 영역은 상단에 '인기 질문'과 같이 질문에 대한 영역인데 위치가 너무 동떨어져 있어서 찾기 힘들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개선점) 질문 영역을 한쪽으로 몰아 넣어, 질문에 대한 기능을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3. 일정관리


- 일정관리 탭에 들어오면 가장 먼저 달력이 눈에 띄고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일정들이 카테고리 별로 색상이 다르게 표기되고 있다. 이는 가독성이 높고, 사용자가 점 몇개로도 어떤 카테고리의 일정이 있었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했다.

특정 일자를 누르면 하단에 그 날짜에 등록된 일정들을 시간대별로 볼 수 있어 편의성을 주었다.

- 일정 등록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카테고리(간병, 병원, 기타, 복약)를 선택한 후 일정을 등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단에 등록하기 버튼은 '필수 질문'을 모두 등록해야만 활성화 되어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버튼에 대한 문구나 알림이 없어서 어떤 정보가 누락되어  등록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는지에 대해 알 수 없다.(개선점) 필수 질문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어떤 정보에 대한 누락인지 붉은 색으로 표기하고 해당 사항을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4. 마이페이지


- 마이페이지에 들어오면 가장 상단에 계좌에 대한 안내가 적혀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제공할 때 선결제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출금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데,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어떤 조건을 달성해야 하는지 한 번에 알 수 있게 해당 영역이 막혀있는 듯한 화면 효과를 주었고, 안내사항 버튼도 구성했다.

- 하단에 서비스 내역 영역은 사용자가 사용했던 모든 서비스 내역을 보여주고 있는데, 해당 영역이 너무 커서 마이페이지 화면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화면이 길어지면서 사용자들은 정작 필요한 기능(간병 일지 기능)에 대해 인지를 못 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개선점) '서비스 내역 보기' 라는 버튼을 만들고 화면 이동을 통해 상세 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하면 좋을 것 같다.

- 계속해서 내려보면 '접수' 영역이 있고, 하단에는 '약관 및 정책/앱 정보'가 있는데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을 왜 접수로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런 문구에 대한 선택이 애매모호 했을 때 사용자들은 혼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개선점)문구를 '정책 및 정보'로 수정하면 좋을 것 같다.

 

 

 

> 느낀점

: 케어네이션 플랫폼은 내가 '손이음' 프로젝트의 구성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고민하고 레퍼런스들을 찾아볼 때 가장 도움을 많이 준 플랫폼이다. 하지만 이미 케어네이션은 간병 말고도 너무 많은 서비스가 추가되었고, 텍스트 크기나 별도의 구성들이 시니어들보단 그들의 보호자들과 간병인들이 사용하기 편할 것 같은 느낌이었다. 앞으로 '손이음'을 개발하면서 케어네이션의 강점은 적극적으로 반영하되, 단점으로 느껴진 부분은 보완하여 더욱 최적화된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simplifier/326

 

뛰어난 UX디자이너의 몸값이 높은 이유는?

UI(User Interface)디자이너보다 UX(User Experience) 디자이너가 높게 평가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령 앱에서 다른 친구에게 선물을 보낸다고 할 때 사용자 화면을 바로 그리기 시작한다면 UI디자이너일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 UI 디자이너는 사용자 화면을 설계하는 데 집중하고,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경험 전체를 고려하여 디자인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앱에서 친구에게 선물을 보내는 기능을 설계할 때, UI 디자이너는 해당 화면을 디자인하는 데 주력하지만, UX 디자이너는 선물의 종류, 주고받는 사람들의 관계, 전달 방법(이메일, 문자, 카카오톡 등), 메시지 형식(고정, 선택형, 자유 입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또한, UX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매끄럽게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동선을 설계하고, 경쟁사의 UX 디자인을 분석하며, 우수한 서비스를 벤치마킹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객이 제품을 이용하면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제품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업 입장에서는 단순한 화면 디자인을 넘어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을 책임지는 UX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것이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

 

 

[ 디스커션 ] 

: UX 디자이너의 역할이 단순한 화면 설계를 넘어, 사용자의 전체적인 경험을 고려하는 것임을 다시 머리에 새겨넣었다. 사용자와 제품 간의 상호작용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험을 설계하는 것이 UX 디자이너의 핵심이니, 앞으로 디자인 작업을 할 때 이러한 관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구현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cliche-cliche/140

 

02화 화면이 복잡할 때 꺼내 읽기 좋은 UX 이야기

복잡함과 혼란스러움 구별하기 | 단순함은 좋은 가치다. 본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함 자체가 언제나 목표일 필요는 없다. 피아노 건반은 88개나 있지만 건반의 수를 줄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복잡함과 혼란스러움의 구별: 복잡함은 시스템의 내재된 특성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없지만, 혼란스러움은 사용자의 이해를 방해하는 요소로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88개 건반은 복잡하지만 명확한 구조로 인해 혼란스럽지 않다.
  • 질서의 중요성: 계산기의 버튼 배열처럼 명확한 질서와 규칙성이 있으면 사용자는 복잡한 시스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사회적 기표(Social Signifier): 신호등의 색상처럼 사회적으로 합의된 기호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한다. 이러한 기표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 어포던스(Affordance): 손잡이가 문을 여는 행동을 유도하듯이, 디자인 요소는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UX 디자이너는 맥락에 맞는 어포던스를 적절히 배치해야 한다.
  • 개념적 모델(Conceptual Model): 실제 세계의 작동 방식을 디지털 경험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구글 맵은 종이 지도의 개념을 디지털로 구현하였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UX 디자인에서 단순함을 추구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사회적 기표와 어포던스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디자인할 때 이런 개념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intersarah/27

 

다크 패턴 UX 디자인 Citizen 앱 분석 

CHI Best Paper | 오늘은 유저를 이해하는 방법 관련 진행했던 특강에서 다뤘던 논문 리뷰 내용을 복기해두려고 한다. 2024년 연초에 진행했던 특강이라서 당시 최신 논문이라고 다뤘는데 2023년 자료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 이 글은 2023년 CHI 학회에서 발표된 'Deceptive Design Patterns in Safety Technologies: A Case Study of the Citizen App' 논문을 기반으로, 안전 기술에서 나타나는 기만적 디자인 패턴을 Citizen 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Citizen 앱은 사용자가 주변에서 발생하는 범죄 및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돕는 위치 기반 안전 앱이다.

 

연구 방법

연구진은 Citizen 앱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다양한 디바이스(iPhone X, iPhone 13 mini, Pixel 4a)를 사용해 Citizen 앱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앱 내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기록하며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잠재적인 다크 패턴을 파악했다.

 

발견된 다크 패턴

  • 제조된 불안 (Manufacturing Anxiety): Citizen 앱은 사건의 맥락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불필요한 알림을 많이 보내어 사용자의 불안을 증대시킨다. 예를 들어, 위험이 없는 사건들을 무분별하게 노출하거나, 사건이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인 알림을 보내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위험 의식을 심어준다.
  • 사용자의 증가된 안전 욕구 해결책 제시: Citizen은 사용자에게 보호 기능인 Citizen Protect, Safety Network, Live Broadcast 등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수익화 및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용자는 불안을 해소하려는 욕구로 앱의 기능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때로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추가적인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시사점

  • 다크 패턴이 미치는 영향: 다크 패턴은 사용자 선택 구조를 수정하고 감정적 비용을 유발한다. 안전과 관련된 정보가 실제 위협이 아니더라도 불안을 증대시키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스트레스, 불안, 공포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편향은 지속적인 감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결합되어 부정적인 편견을 강화하고, 특히 소수 인종 및 취약한 집단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 사회적 해악(harm) 논의 필요성: 기존의 ‘개인 복지’ 및 ‘개인 권리’ 중심의 다크 패턴 논의에서 벗어나, 사회적 해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안전 기술 분야에서의 다크 패턴은 사회적 불안을 증대시키고,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윤리적 논의와 규제가 필요하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읽고 안전을 목적으로 한 앱에서도 다크 패턴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았다. 사용자의 불안을 조장하여 앱 사용을 유도하는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스트레스와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UX 디자이너로서 이러한 다크 패턴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디자인을 고민해야겠다고 다짐한다. 또한, 사회적 해악을 고려한 윤리적 디자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intersarah/26

 

유저의 마음을 읽는 법 UX 리서치 방법론

관심 쏟기 | 오늘날 사용자 경험(UX) 디자인은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UX 디자이너의 주요 역할은 유저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필요로 하고, 어떤 어려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1. 관찰하기

  • 몰래보기(Fly on the Wall): 사용자에게 관찰 사실을 알리지 않고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적인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 행동 매핑(Behavioral Mapping): 사용자의 행동을 시간과 장소에 따라 기록하여 행동 패턴을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매장 내 고객의 이동 경로나 특정 제품 앞에서 머무는 시간을 지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 행동 고고학(Behavioral Archaeology): 사용자가 남긴 흔적이나 물건을 통해 그들의 사용 방식과 습관을 유추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책상 위의 물건 배치를 통해 사용자의 업무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다.
  • 하루살기(A Day in the Life): 관찰자가 사용자의 하루 일과에 동참하여 그들의 경험을 직접 체험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다.
  • 가이드 투어(Guided Tour):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활동을 설명하며 안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관점과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 섀도잉(Shadowing): 관찰자가 사용자의 옆에서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사용 환경과 행동을 파악할 수 있다.

2. 귀 기울이기(경청하기)

  •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사용자와 일대일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어 그들의 생각, 경험, 니즈를 탐구하는 방법이다.
    • 구조화 인터뷰: 사전에 준비된 질문을 기반으로 진행하여 일관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 비구조화 인터뷰: 정해진 질문 없이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예상치 못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 반구조화 인터뷰: 기본 질문을 마련하되, 필요에 따라 추가 질문을 던져 유연하게 진행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접근과 자유로운 탐색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 맥락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 사용자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그들의 행동과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진행하는 인터뷰 방법이다.
    • 5번 왜 물어보기(5 Whys): 사용자의 행동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다섯 번 반복하여 근본적인 이유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 보여주세요: 사용자에게 특정 작업이나 행동을 직접 보여달라고 요청하여,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과정을 시각적으로 이해한다.
    • 그려주세요: 사용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이를 통해 더 명확한 정보를 얻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흐름도나 감정 곡선을 그려보게 할 수 있다.
    • 말해주세요: 사용자가 작업을 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생각과 느낌을 설명하도록 요청하여, 인지적 과정을 파악한다.

3. 표본 선정의 중요성

 모든 사용자를 인터뷰할 수 없으므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서비스 사용 정도에 따라 극단적 사용자(extreme users)와 전형적 사용자(stereotype users)로 나누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닐슨 노먼 그룹에 따르면, UX 리서치를 위한 인터뷰는 보통 5명의 표본으로 주요 문제와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연구의 깊이와 목적에 따라 표본 수는 유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 디스커션 ] 

: UX 리서치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관찰과 경청을 통해 사용자의 숨겨진 욕구를 발견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UX 디자이너의 핵심 역할임을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방법들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구현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areeza77/246

 

페르소나 기반 UX 디자인 프로젝트

페르소나의 영역은  비즈니스,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문제 해결까지 | 지금까지 우리는 페르소나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서 페르소나가 어떻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페르소나의 활용 영역

  • 제품 개발: 페르소나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를 파악하여 새로운 기능을 기획하고, UI/UX 디자인을 개선한다.
  • 서비스 디자인: 페르소나의 여정을 시각화하여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마케팅: 페르소나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에 맞춰 광고를 노출하고,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며, 적절한 채널을 선정한다.

비즈니스 사례

  • 아마존: '빠른 배송을 원하는 직장인'이라는 페르소나를 설정하여 당일 배송 서비스를 강화했다.
  • 넷플릭스: 다양한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였다.
  • 핀터레스트: '취미 생활을 즐기는 여성'이라는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다양한 취미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보드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페르소나의 중요성과 다양한 활용 방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페르소나를 활용한 실제 비즈니스 사례와 사회 문제 해결 방안을 보며, UX 디자이너로서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디자인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다.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페르소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구현해야겠다.

 

 

비교할 수록, 케어닥

: 저번 레퍼런스 토닥씨 플랫폼을 분석해보았다면 이번에는 다른 플랫폼인 케어닥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케어닥 또한 요양시설 검색, 방문 요양 서비스 연결, 그리고 시니어 맞춤 돌봄 컨설팅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보호자는 전국 요양시설 정보를 비교하고, 원하는 조건에 맞는 요양보호사를 찾을 수 있으며, 전문가 상담을 통해 맞춤형 케어 솔루션을 받을 수 있다.

 

토닥씨와 케어닥은 모두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지만, 토닥씨는 플랫폼 내에서 대부분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을 한곳에서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 중 문의 사항이 생겼을 때 전화 상담이  바로바로 어려운 점이 단점이다.

 

 케어닥은 플랫폼을 이용하다가 궁금한 점이나 상담하고 싶을 때, 곳곳에 있는 전화 연결 버튼을 통해 쉽게 전화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지만, 전화 상담 특성상 이슈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두 플랫폼은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케어닥의 구조

 

 

1. 홈

 

- '홈'탭에서는 케어닥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모아놓은 화면이라고 할 수 있다.

- 보통 처음으로 시선이 가게 되는 왼쪽 상단에 포인트 컬러를 사용하여 '서비스 상담' 버튼을 구성하였고, 이 버튼을 선택하면 '상담정보 직접 남기기' 와 '상담 예약하기' 버튼이 보인다. 해당 화면을 처음 봤을 때 두 버튼의 차이를 알기 힘들어서 직접 버튼을 눌러보아야 했다. 눌러봤을 때 연결되는 화면으로 보니 '직접 남기기' 버튼은 전화 상담 없이 해당 플랫폼을 사용하여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방식이고, '상담 예약하기'는 상담자 정보를 입력한 후 전화상담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했다.

(개선점)상담정보 직접 남기기와 상담 예약하기라는 명칭보단 조금 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상담정보 입력하기' / '전화 상담 예약' 으로 바뀌면 사용자가 올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상담정보 직접 남기기 버튼을 선택하면 질문과 선택지가 보여진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지를 입력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면 바로 전화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오른쪽 상단에 '상담 예약' 버튼과 관련 툴팁을 볼 수 있어 편하다.

 

 

- '전화로 간병신청' 버튼을 누르면 화면 하단에 바로 통화할 수 있는 버튼이 보여진다.

사용자가 누구야에 따라 편리하다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본인은 해당 버튼 자체에 대한 존재가 의문이 든다.

'서비스 상담' 버튼을 눌러도 상담 예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중복되는 기능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 하지만 곳곳에 빠른 전화 상담(상담 예약)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면 편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 '재택케어 직접신청' 버튼으르 선택하면 '서비스 상담'과 비슷하게 구성된 화면으로 연결된다. 재택케어라는 문구가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 수 없어, 처음 이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어떤 서비스를 말하는 것인지 모를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사용자들을 위해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는 창으로 이동한다.

- 재택케어 서비스 어떤 서비스인가요? 를 선택하면 연결되는 화면에서도 버튼 명칭에 대한 의문은 생긴다.

'재택케어 상담 신청하기' '직접 상담신청하기' 라는 버튼을 보고 둘 다 재택케어에 대한 상담 신청인데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전혀 인지할 수 없다.

- '상담원을 통한 서비스 신청'을 누르면 바로 통화할 수 있는 버튼이 화면에 띄워지고, '직접 서비스 신청'을 누르면 사용자가 신청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폼으로 연결된다.

 

 

- '병원간병 직접신청'과 '자택간병 직접신청' 버튼을 누르면 비슷한 구조의 입력 폼으로 이동한다. 두개의 버튼은 다른 서비스들과는 다르게 전화로 상담 버튼이 따로 없다. (이 이유는 잘 모르겠다)

- 각 화면마다 하단에 안내 이미지와 문구가 보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 정보를 최대한 명확하게 적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2. 내 예약

- '내예약' 탭에 대한 정보는 아직 찾지 못 했다..

관련 자료가 있는지 케어닥 홈페이지와 구글링을 해보았으나 해당 기능에 대한 자료는 찾지 못 했기에 패스하도록 한다.

 

 

3. 전화신청



- '전화신청' 탭을 누르면 이와 동시에 바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 버튼이 보여진다.

전화 신청이라는 명칭과 맞게 바로 연결되는 것은 장점이지만, 굳이 탭으로 생성했어야 하나라는 의문이 든다.

본인의 경우, 레퍼런스 분석을 위해 이것 저것 탭을 눌러보면서 보다가 전화 신청과 통화 버튼을 잘못 누를 뻔 한 적이 여러번 있다.

 

또한, '홈' 탭에서도 전화 신청 버튼이 있기 때문에 따로 탭으로 구분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생각이다.

(개선점)차라리 탭으로 나누지 않고 화면 우측 하단에 플로팅 버튼(FAB)를 배치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한다.

 

4. 더보기

 

- '더보기' 탭에서는 다른 플랫폼에서 볼 수 있는 '마이~' 탭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보기 라는 명칭도 처음 보고 생각했을 때 주요 서비스 이외에 다른 서비스도 있나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해당 탭 명칭을 더보기가 아닌 내정보 또는, 기타정보 라고 변경하면 덜 어색할 것 같았다.

- 상단에 쿠폰 관리할 수 있는 영역이 따로 빠져있는데 쿠폰을 어디에서 발급하는 것인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과 설명이 없어 혼란을 주고 있다. (개선점) 쿠폰 영역에 툴팁을 사용하여 어떻게 발급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에 대한 설명이 추가한다.

 

> 개선점

: 전체적으로 버튼 명칭이 주는 의미가 모호하거나 '직접신청', '전화신청' 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신청이라는 문구가 너무 많이 반복되어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뜨린다. 두 명칭을 모두 삭제하고, 전화 연결 기능을 각각 버튼들로 구성하는 게 아닌 FAB로 우측 하단에 항상 배치되도록 하여 전화가 필요할 때마다 누를 수 있는 버튼 한 개로 줄인다. 그리고 의미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확한 버튼 명칭을 사용한다.

 

폰트 색상도 조금 더 눈에 띄는 색상으로 적용하면 가독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F333333정도의 색상)

[ 아티클 본문 ] 

https://www.designer-note.com/design-readability-2/

 

[Design]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2: 구성요소의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핵심! – 비전공자를 위

이전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1: 본문에 사용하면 안 되는 폰트 스타일과 속성‘을 통해서 본문에 사용되면 가독성을 낮게 하는 폰트로 필기체, 탈네모꼴, 이탤릭체(기울임꼴), 볼드체가 있

www.designer-note.com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는 글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인 자간(글자 사이의 간격), 행간(줄 간격), 정렬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 자간(Tracking):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자간이 너무 좁거나 넓으면 읽기 어려워진다. 적절한 자간 설정을 통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2. 행간(Leading, Line Spacing):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을 뜻하며, 행간이 너무 좁으면 글이 빽빽해 보이고, 너무 넓으면 내용의 연속성이 떨어진다. 적절한 행간 조절로 읽기 편한 문서를 만들 수 있다.
  3. 정렬(Alignment): 글의 배치를 의미하며,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양쪽 정렬 등이 있다. 왼쪽 정렬은 시선의 흐름이 자연스러워 가독성이 높으며, 가운데나 오른쪽 정렬은 시선의 이동이 불규칙해져 긴 문장에는 부적합하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글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알게 되었다. 자간과 행간의 미세한 조정이 독자의 읽기 편의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정렬 방식에 따라 시선의 흐름이 달라져 가독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도 깨달았다. 앞으로 디자인할 때 이러한 요소들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독자 중심의 콘텐츠를 만들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www.designer-note.com/design-bodycopy-1/

 

[Design]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1: 본문에 사용하면 안 되는 폰트 스타일과 속성 – 비전공자

디자인 비전공자와 초보자가 본문에 폰트 적용할 때 실수하는 예를 알아보고, 본문(Body Copy)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독성(Readability)은 좁은 의미로는 사용자가

www.designer-note.com

 

 

[ 아티클 요약 ] 

: 이 글에서는 본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피해야 할 폰트 스타일과 속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필기체, 탈네모꼴, 이탤릭체(기울임꼴), 볼드체의 사용을 지양하고, 고딕체 Regular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한다.

  1. 필기체(Cursive Script): 손글씨 느낌의 폰트로, 제목이나 짧은 문구에는 적합하지만 긴 본문에서는 가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2. 탈네모꼴 폰트: 정사각형 틀에서 벗어난 길쭉한 스타일의 폰트로, 밑선에 공간이 생겨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3. 기울임꼴/이탤릭체(Italic): 글자를 사선으로 기울인 스타일로, 한글에서는 특별한 디자인 콘셉트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볼드체(Bold): 굵은 글씨체로, 제목이나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에 사용하며, 본문 전체에 적용하면 가독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문에는 고딕체 Regular나 Light를 사용하는 것이 가독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말한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에서는 Light 폰트가 가독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디스커션 ] 

: 일단, 이 글은 21.01.11 작성된 글이다. 본문에서는 고딕체를 사용하기 안전하다고 하지만 고딕체로 한정할 수는 없고 가독성이 높은 폰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라고 생각한다. 필기체나 이탤릭체 등은 디자인적으로 매력적일 수 있으나, 본문에서는 오히려 독자의 가독성을 해지고 있다는 것을 글을 읽으며 느꼈다. 앞으로 콘텐츠 제작 시 가독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폰트를 선택하고, 독자에게 편안한 읽기 경험을 제공해야겠다.

 

[ 아티클 본문 ] 

https://brunch.co.kr/@clay1987/97

 

웹, 앱 디자인 분석을 위한 3가지 기준점

UI 디자이너가 웹서비스와 앱서비스를 분석하는 방법 | 디자인 분석이 필요한 이유 웹과 앱 디자인에 있어서 좋고 나쁨을 느끼는건 몇초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그러나 디자인 결과물이 왜 좋은

brunch.co.kr

 

 

[ 아티클 요약 ] 

1. 비주얼 컨셉

디자인의 시각적 완성도를 평가하는 단계로, 색상, 사진, UI 애니메이션, 레이아웃 등을 포함한다. 한화 Qcells의 제품 홈페이지를 예시로 들어, 깔끔한 색상 팔레트와 고해상도 사진 사용, 사각형 그리드를 활용한 디자인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2. UI 디자인적 완성도

UI 요소들이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한화 Qcells 사이트의 경우, 사진 위에 어두운 배경과 흰색 텍스트, 남색 버튼을 사용한 점은 좋았으나, 남색이 검은 배경에 묻히는 경우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영상 모듈이 팝업창에서 재생되는 방식보다는 페이지 내에서 직접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3. 컨텐츠의 내용과 맥락

웹이나 앱이 전달하는 컨텐츠의 양과 질, 그리고 사용자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되는지를 평가한다. 한화 Qcells 사이트는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으나, 내용이 너무 많아 사용자가 모든 정보를 소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 했다. 그래서 결국 컨텐츠를 압축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 디스커션 ] 

: 이 글을 통해 웹 및 앱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눈으로 보았을 때 비주얼 컨셉, UI 디자인적 완성도, 컨텐츠의 내용과 맥락을 알 수 있어야 하고, 이 세 가지 기준점을 통해 디자인의 장단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실제 사례를 통해 각 기준점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디자인 작업이나 평가를 할 때 이러한 기준점을 활용하여 더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수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

+ Recent posts